올레 1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레 1호는 KT가 사용하는 브랜드 '올레'에서 이름을 따온 통신 위성으로, 2010년 12월 29일 아리안 5 로켓에 의해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HD 방송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고품질의 위성 방송 서비스를 한반도 전역에 제공하기 위해, 고정 통신 서비스(FSS)용 Ku 밴드 24기와 직접 위성 방송(DBS)용 Ku 밴드 6기를 포함한 총 30기의 위성 중계기를 탑재했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통신 페이로드를, 오비탈 사이언시즈가 STAR 버스를 제공했으며, 15년간 운용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발사한 우주선 - STS-131
STS-131은 2010년 4월에 진행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38번째 비행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장비와 물자를 운송하고 3번의 우주 유영을 통해 여러 작업을 수행한 7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임무였다. - 2010년 발사한 우주선 - IKAROS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IKAROS는 세계 최초의 태양 돛 추진 방식 탐사선으로, 태양 복사압을 이용한 우주 항해 기술 실증을 목표로 금성 플라이바이에 성공하며 행성 간 항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 아리안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아리안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베피콜롬보
베피콜롬보는 유럽 우주국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수성 탐사 임무로, 3개의 모듈을 활용하여 7년의 비행 끝에 수성 궤도에 진입하여 수성의 기원과 진화 등을 연구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할 예정이다. - KT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KT - KT스카이라이프
KT스카이라이프는 KT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위성방송 사업자로, 고화질 방송 서비스와 다양한 채널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동 수신 안테나 방식과 IP 네트워크 방식으로 수신 가능하다.
올레 1호 | |
---|---|
기본 정보 | |
![]() | |
임무 | 통신 |
운영 | KT |
임무 기간 | 15년 |
제작사 | KT, 탈레스 그룹 |
발사 정보 | |
발사일 | 2010년 12월 29일 |
발사 로켓 | 아리안 5 |
발사 장소 | 기아나 우주 센터 |
궤도 정보 | |
폐기 방식 | 퇴역 |
비활성화 | 2005년 12월 16일 |
궤도 기준점 | 1995년 8월 5일 |
궤도 참조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영역 | 정지 |
궤도 경도 | 동경 116° |
궤도 주기 | 1,438.0 분 |
통신 정보 |
2. 올레 (브랜드)
올레(olleh)는 KT의 브랜드이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는 통신 페이로드를 제공하고, 오비탈 사이언시즈는 STAR 버스를 제공했으며, 제조부터 최종 시험, 발사장 작업까지 담당했다.[4] 이 두 회사는 위성의 궤도 운용을 지원하는 지상 시스템을 제공했고, 오비탈은 KT사에 인계 후 6개월 동안 현지 지원을 했다.[4]
2. 1. 브랜드 의미와 가치
올레(olleh)는 KT의 CM 등에 사용되는 신조어로, hello를 거꾸로 한 것에서 유래하여 "역발상의 혁신적인 사고를 통한 서비스", "미래가 온다", 제주 방언, 감동의 순간에 나오는 "감탄의 소리"라는 4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3]3. 무궁화 위성 6호 (올레 1호)
KT의 인공위성 '무궁화 위성 6호(올레 1호)'는 hello를 거꾸로 한 신조어인 '올레'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올레'는 "역발상의 혁신적인 사고를 통한 서비스", "미래가 온다", 제주 방언, 감동의 순간에 나오는 "감탄의 소리"라는 4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3] 2010년 12월 29일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 5 로켓으로 발사되었으며,[3] 15년간 운용될 예정이었다.[4]
3. 1. 기술 사양 및 특징
올레 1호에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HD 방송에 대비하여 성능이 대폭 강화된 고정 통신 서비스(FSS)용 Ku 밴드 24기 및 직접 위성 방송(DBS)용 Ku 밴드 6기 등 총 30기의 위성 중계기가 탑재되어 있어, 고품질의 위성 방송 서비스를 한반도 전역에 제공한다.[3]주 계약자인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Thales Alenia Space)는 통신 페이로드를 제공하고, 오비탈 사이언시즈(Orbital Sciences)는 STAR 버스(STAR satellite bus)를 제공했으며, 제조부터 최종 시험, 발사장 작업까지 담당했다.[4] 또한 이 두 회사로 구성된 팀은 위성의 궤도 운용을 지원하는 지상 시스템을 제공했으며, 오비탈은 KT사에 인계 후 6개월 동안 현지 지원을 제공했다.[4]
3. 2. 발사 및 운용
올레 1호는 2010년 12월 29일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 5 로켓으로 발사되었으며,[3] 15년간 운용될 예정이다.[4]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통신 페이로드를, 오비탈 사이언시즈가 STAR 버스를 제공했으며, 제조부터 최종 시험, 발사장 작업까지 오비탈 사이언시즈가 담당했다.[4] 두 회사는 위성의 궤도 운용을 지원하는 지상 시스템을 제공했고, 오비탈은 KT에 위성을 인계한 후 6개월 동안 현지 지원을 제공했다.[4]
3. 3. 국제 협력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는 통신 페이로드를 제공했고, 오비탈 사이언시즈는 STAR 버스(STAR satellite bus)를 제공했으며, 제조부터 최종 시험, 발사장 작업까지 담당했다.[4] 두 회사는 위성의 궤도 운용을 지원하는 지상 시스템을 제공했고, 오비탈은 KT에 인계 후 6개월 동안 현지 지원을 제공했다.[4]3. 4. 기대 효과 및 의의
올레 1호는 HD 방송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성능을 강화한 고정 통신 서비스(FSS)용 Ku 밴드 24기와 직접 위성 방송(DBS)용 Ku 밴드 6기 등 총 30기의 위성 중계기를 탑재하여, 한반도 전역에 고품질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3] 15년 동안 운용할 예정이다.[4]참조
[1]
웹사이트
Ariane 5 ECA ends 2010 by launching Koreasat 6 and Hispasat 1E
https://www.nasaspac[...]
2010-12-28
[2]
웹사이트
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KOREASAT 6
https://www.n2yo.com[...]
[3]
뉴스
韓国の通信社KTが、通信放送衛星「オレ1号」打ち上げに成功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4]
간행물
KOREASAT 6 FACT SHEET
http://www.orbital.c[...]
Orbital
[5]
웹인용
2010년 12월 30일, KT 위성 'olleh 1호' 발사성공
http://blog.olleh.co[...]
2015-02-08
[6]
웹인용
2011년 2월 1일, KT 위성 HD-3D 상용서비스 개시 - 'olleh 1호' 위성이야기
http://blog.olleh.co[...]
2015-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